본문 바로가기
귀금속

보석 중에 속기 쉬운 보석과 감별 방법

by daiuni 2025. 2. 20.
반응형

가장 감쪽같이 속기 쉬운 보석과 감별 방법

 

보석을 구매할 때, 특히 합성 보석과 천연 보석을 구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일부 합성 보석은 전문가조차 감별이 어려울 정도로 정교하게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다음은 가장 감쪽같이 속기 쉬운 보석과 그 감별 방법에 대한 정리입니다.

 

감별이 어려운 보석들

1) 합성 자수정

  • 특징: 내포물이 적을수록 가치가 높은데, 내포물이 전혀 없는 합성 자수정은 감별이 어렵습니다. 특히 캐보션 형태(둥근 표면으로 연마된 형태)의 자수정이 깨끗하다면 합성을 의심해야 합니다. 천연 자수정은 내포물이 많거나 품질이 떨어질 때 주로 캐보션으로 가공되기 때문입니다.
  • 감별 방법: 일반적으로 내포물이나 색띠를 통해 구분하지만, 합성에서도 색띠가 있는 경우가 있어 초심자에게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2) 합성 디퓨전 사파이어

  • 특징: 내포물이 없이 깨끗한 경우, 전통적인 감별 방법으로는 구별이 불가능합니다. 합성 디퓨전 사파이어가 천연과 섞여 거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감별 방법: 전문 감정소에서 첨단 장비를 사용해야만 감별이 가능합니다.

3) 합성 다이아몬드

  • 특징: 합성 다이아몬드는 천연 다이아몬드와 광학적, 화학적, 물리적 특성이 동일하여 육안 감별이 거의 불가능합니다. 다이아몬드 테스터기에서도 동일한 반응을 보이기 때문에, 전문 감정소의 감별 장비 없이는 정확한 판별이 어렵습니다.
  • 감별 방법: 전문 감정소에서의 감별이 필수적입니다.

4) 모이사나이트 (Moissanite)

  • 특징: 다이아몬드와 매우 흡사하며, 열전도율까지 비슷해 다이아몬드 테스터기로도 감별이 어렵습니다. 특히 갈색(꼬냑 다이아몬드)이나 블루, 블랙 등 다양한 색상이 등장하면서 더욱 감별이 까다로워지고 있습니다.
  • 감별 방법: 이중 굴절 특성을 확인하면 감별할 수 있으며, 전문적인 감별 장비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5) 페리도트

  • 특징: 일부 인조유리는 천연 페리도트와 굴절률과 비중이 유사하여 감별이 어렵습니다. 그러나 페리도트는 복굴절(double refractive)이고 인조유리는 단굴절(single refractive)이기 때문에 편광기 검사를 통해 쉽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 감별 방법: 편광기를 사용하여 복굴절과 단굴절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으며, 페리도트의 복굴절 효과로 인해 능선이 두 개로 보이는 '더블링 현상'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6) 합성 시트린

  • 특징: 시트린은 원래 내포물이 거의 없는 보석이기 때문에 합성과 천연을 구분하기가 어렵습니다. 색띠가 있는 경우 천연 시트린일 가능성이 크지만, 색띠가 전혀 없다면 전문가도 육안으로 감별하기 어렵습니다.
  • 감별 방법: 색띠가 있는 경우에만 천연 여부를 판별할 수 있습니다.

보석 구매시 주의할 점

  1. 감별서 확인: 감별서 없이 거래되는 보석은 합성일 가능성이 큽니다.
  2. 내포물 검사: 완벽히 깨끗한 보석은 합성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내포물을 확인해야 합니다.
  3. 테스터기의 한계 인식: 일부 보석(모이사나이트, 합성 다이아몬드 등)은 기존 테스터기로 감별이 어렵습니다.
  4. 신뢰할 수 있는 판매처 이용: 감정소에서 감별된 보석을 취급하는 신뢰할 만한 판매처를 이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 전문 감정소 활용: 전문가의 감별을 통해 확실한 정보를 얻는 것이 안전합니다.

가장 잘 만들어진 합성 보석은 합성 다이아몬드, 합성 시트린, 합성 자수정, 합성 디퓨전 사파이어입니다.

보석을 구매할 때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현명합니다.

특히, 가격이 저렴한 보석은 감별서 없이 거래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보석 구매 시, 본인의 경험이나 감에 의존하기보다는 전문 감정소의 도움을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