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귀금속

2022년 6월 초순 금 원자재 가격 전망

by daiuni 2022. 6. 10.
반응형

5월 초부터 중순까지 $1,880/oz 선에 시작하여 꾸준한 하락 기조를 형성하면서 일시적으로 심리적 지지선인 $1,800/oz 선이 무너지는 약세를 보였다. 이후 다시 반등하여 5월 말까지 $1,850/oz 선을 중심으로 공방전이 계속되었고, 6월 초반에도 뚜렷한 방향성이 없이 보합 흐름을 이어갔다.

썸네일
썸네일

 

미국 달러화의 강세와 국채 수익률의 상승 현재 러-우 간의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안전 자산으로서의 미국 달러화가 선호되고 있다. 이러한 기반에서 추가적으로 미국 연준의 2차 Big Step 수준의 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분위기가 미국 달러화의 강세와 국채 수익률의 상승으로 이어지면서 5월 금 가격의 하락 기조에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1번

미국 3대 주가지수가 연초부터 꾸준하게 5월 말까지 하락 흐름을 이어왔던 것이 안전 자산으로서의 금 투자 분위기에 일조하면서 하락의 폭이 매우 제한적이었다.

 

전반적인 원자재 상품시장의 상승 흐름 러-우 지역의 지정학적 불안으로 인해 에너지와 곡물류를 중심으로 원자재 상품시장이 상승 흐름을 이어갔던 것이 국제 금 가격이 $1,800/oz 선을 유지하는데 탄탄한 지지기반이 되었다. 또한 $1,800/oz 선에서 러시아의 중앙은행과 국부펀드 등 지정학적 위험지역에서 탄탄한 저가 매수세가 대기했는데, 이는 금 가격이 미국 달러화와 국채 수익률의 상승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시세를 방어적으로 유지할 수 있었던 원인으로 분석된다.

 

 

 

 

 

 

 

전망 미국 연준의 5월 초 0.50% 수준의 기준금리 인상 이후 6월에도 추가적인 0.50%의 기준금리 인상이 예상되면서 금 가격은 6월에도 전반적으로 약세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경기 둔화 흐름으로 인해 연초부터 급격하게 하락했던 미국 3대 주식시장이 6월 들어서는 어느 정도 반등할 것으로 보인다. 이때는 위험자산 저가 매수 흐름으로 인하여 안전 자산으로서의 금 투자는 다소 위축될 가능성이 높다.

 

 

 

 

 

2번

미국의 고용과 실업 관련 경제지표가 긍정적인 신호를 보내면서 연준이 급격한 긴축정책보다는 다소 온건한 긴축정책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주식시장의 하락 흐름으로 인해 기준금리 인상도 어느 정도 수위 조절을 할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기준금리와 국채 수익률의 고점을 확인하게 되면 국제 금 가격은 상승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여전히 기준금리 인상 분위기가 금 가격에 약세 흐름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러-우 간의 전쟁이 새로운 국면으로 전쟁이 확산되면서 지정학적 위험이 가중되지 않는다면 6월 미국 FOMC 회의까지 기준금리 인상 흐름으로 인해 전반적으로 약세 기조를 형성할 가능성이 높다.

출처) 귀금속경제신문(www.diamonds.co.kr)

 

 

 

 

(추천)

 

전쟁이 다이아몬드 공급에 미치는 영향

다이아몬드 산업이 여러 외부적 요인의 영향을 받고 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은 공급 환경을 바꾸는 한편 알로사 원석에 대한 미국 수요에 타격을 입혔다. 중국의 락다운으로 인해 가장 중

h.dasoni1004.com

 

 

KRX 금 거래량 연일 고공행진

금 시세 최고가 경신 g당 8만원 육박... 파생상품 수익율 동반 상승 인플레이션 우려에 지정학적 리스크가 더해지며 올해 국내 금 거래량이 폭발했다. 높은 시장 변동성에 금이 안전자산으로 주

h.dasoni1004.com

 

반응형

댓글